직장인처럼 4대 보험에 자동 가입되지 않는 프리랜서는 사회보장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이기 쉽다. 특히 국민연금은 본인이 스스로 임의가입을 신청해야만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납입 부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제도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에 많은 프리랜서가 국민연금 가입을 미루거나 포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글에서는 영상 편집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29세 ㅇㅇㅇ씨가 국민연금 임의가입을 결심하게 된 계기, 가입 과정, 그리고 가입 후 변화된 생각에 대해 생생하게 정리했다. 실제 사례 기반의 후기를 통해, 국민연금이 프리랜서에게 왜 필요한지 현실적으로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에서 영상 편집 프리랜서로 활동 중인 29세 ㅇ ㅇ ㅇ입니다. 대학교 졸업 후 작은 회사에 1년 반 정도 다녔다가 퇴사하고 이후로는 줄곧 프리랜서로 수입을 벌며 1인 사업자처럼 살고 있습니다. 영상 편집, 모션그래픽, 브이로그 컷 편집 등 여러 클라이언트와 협업하며 수입은 꾸준한 편이지만 고정적인 복지나 보험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국민연금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는 '그거 직장 다녀야 되는 거 아닌가?', '나중에 직장을 다니게 되면 가입해야겠네' , '나중에 준비해야겠어'라고 생각했고 제게는 너무 멀게 느껴지는 제도였습니다. 하지만 어느 날 갑자기 생각이 바뀌게 됐습니다.
같은 프리랜서인 지인이 국민연금에 가입했다고 말해준 적이 있습니다. 그 친구는 “나중에 아무 소득 없어도 국가에서 월 80~100만 원씩 나온다”고 했고 그 말을 듣고 좀 충격을 받았습니다. "나는 지금 이렇게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미래에는 아무것도 없을 수도 있겠구나, 지금부터 준비 할 수 있으면 뭐라도 해놓아야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생활 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바로 프리랜서 국민연금 가입 방법을 검색했고 임의가입이라는 제도가 있다는 걸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에서도 가입 신청이 가능했지만 저는 이해가 잘 안되어서 국민연금공단에 직접 전화 상담을 신청했습니다.
상담 후 가까운 지사에 직접 방문해서 10분 만에 가입 신청을 완료했어요. 필요한 서류는 신분증 하나뿐이었고 납입 방식은 자동이체로 등록했습니다.
첫 달엔 사실 조금 부담스러웠어요. 매달 고정 지출이 많지는 않았는데 그래도 99,000원이면 한 달에 영상 두 개는 더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하지만 심리적으로는 미래를 준비했다는 생각에 오히려 안정감이 생겼어요.
이런 생각이 들면서 오히려 자기관리 습관도 생기기 시작했어요. 월 고정 수입을 만들기 위한 루틴을 잡게 됐고, 수입과 지출 정리도 더 체계적으로 하게 됐습니다. 다른 자산관리에 대해 관심도 생겼습니다.
가입 후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있는 연금 예상액 계산기를 돌려봤습니다. 제가 지금부터 30년 동안 월 10만 원을 납입한다고 가정하면
이 수치를 보고 확신이 생겼습니다. 지금 내는 돈은 크지 않지만 이걸 30년 동안 쌓아두면 내 노후를 지켜주는 방패가 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프리랜서로 사는 건 자유롭지만 불안정하다. 수입도 일정하지 않고, 언제 병원비가 생길지 모르고 나이가 들면 일감이 줄어드는 것도 현실이다. 이런 불확실한 삶 속에서 국민연금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확실한 안전장치다. 국가가 보장해 주고 복리 구조로 늘어나고 노후에 최소한의 삶을 유지하게 해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프리랜서인 나에게 국민연금은 보험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최소한의 자기방어 수단이다.
항목 | 내용 |
가입 방법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 |
납입 금액 | 월 최소 99,000원 (2025년 기준) |
가입 유형 | 임의가입 (자발적 가입) |
필요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수령 조건 | 최소 10년 이상 납입, 만 60세 이후 수령 가능 |
지자체 지원 | 거주 지역에 따라 월 최대 5만 원 보조 가능 |
국민연금, 청년이 준비해야 하는 이유 (0) | 2025.08.04 |
---|---|
국민연금 지차체 청년 지원사업 총정리 (0) | 2025.08.03 |
국민연금 20대 청년의 전략 (0) | 2025.08.02 |
국민연금 모바일 앱 100% 활용법 (0) | 2025.08.01 |
국민연금 납부, 수령조건 및 전략 – 재외국민과 외국인을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07.30 |